본문 바로가기
건강

신경성 식욕부진증

by 발랄루피 2022. 8. 22.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체중증가와 비만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을 지니고 있어서 음식 섭취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거나 거부함으로써 체중이 비정상적으로 저하되는 경우를 말한다. 신경성 식욕부진에 대한 DSM-5의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필요한 것에 비해서 음식 섭취를 제한함으로써 나이, 성별, 발달 수준과 신체 건강에 비추어 현저한 저체중 상태를 초래한다. 현저한 저체중이란 정상체중의 최저수준 이하의 체중을 의미한다. 둘째, 심각한 저체중임에도 불구하고 체중 증가와 비만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을 지니거나 체중 증가를 방해하는 지속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셋째, 체중과 체형을 왜곡으로 인식하고, 체중과 체형이 자기평가에 지나친 영향을 미치거나 현재 나타내고 있는 체중미달의 심각함을 지속해서 부정한다. 이러한 특성을 나타낼 경우 신경성 식욕부진증으로 진단되며, 음식 섭취를 거부한다는 의미에서 거식증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을 지닌 사람들은 체중증가에 대한 공포를 지니고 있는데, 자기 몸매에 대한 걱정에 휩싸여 있으며 실제로는 매우 말랐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뚱뚱하다고 인식한다. 따라서 체중을 더 줄이거나 더 이상 살지지 않기 위해서 체중조절에 대한 과도한 걱정과 집착을 나타낸다. 아울러 우울한 기분에 잠겨 있고 쉽게 짜증을 내며 대인관계가 위축되고 흔히 성욕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다. 이 장애는 내성적이고 모범적이며 완벽주의적인 여자 청소년에게 흔히 나타나는데, 음식을 안 먹겠다는 고집으로 인해 음식 섭취에 관해서 부모와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식사를 피하기 위해 가족이나 친한 사람과의 만남을 회피하므로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경향이 있으며, 때로는 공부나 일에 거의 강박적으로 집중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자신에게 억지로 음식을 먹게 하려는 외부의 노력에 대해 강력하게 거부하거나 기만적 행동을 나타내기도 한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을 나타내는 사람들은 체중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한다. 그 첫째는 음식량을 줄이거나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이다. 먹는 음식의 양과 칼로리에 예민해지며 칼로리가 높은 음식을 피하거나 채식하거나 또는 극히 소량의 음식만을 먹게 된다. 음식을 몰래 버리기도 하는데, 이런 행동으로 인해 가족과 갈등이 생기고 따라서 음식과 관련된 불안이 증가하여 같이 먹기를 회피하게 된다. 두 번째 방법은 많이 활동하거나 운동을 하여 살을 빼는 방법이다. 이들은 “설 수 있거든 앉지 말고, 걸을 수 있거든 서 있지 말고, 뛸 수 있거든 걷지 마라”는 지침을 지키기 위해 일부러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정거장에서 일찍 내려서 걸어가는 등의 과잉활동을 하거나 에어로빅, 조깅, 수영 같은 운동을 심하게 하기도 하는데 대개 혼자 하는 경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체중을 조절하기 위해서 먹은 음식을 토해내거나 설사제, 이뇨제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런 행동은 건강에 매우 해로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음식을 절제하다가 종종 과식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때 먹은 음식을 배출하기 위해 토하거나 약물을 복용하기도 한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이러한 경력이 있는 폭식-하제 사용형과 그러한 경력이 없는 제한형으로 구분된다. 
이렇게 과도하게 체중을 감량하게 되면 여러 가지 신체적 문제가 발생한다. 우선 현저한 체중감소가 나타나는데, 연령과 신장에 의해 기대되는 최저의 정상체중보다 적어도 15% 이상의 체중감소가 나타나는 경우에 신경성 식욕부진증으로 평가한다. 체중 평가의 주요한 지표인 체중 중량지수는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누어 계산하는데, 이 지수가 20~25이면 정상체중으로 간주하는 반면, 17 이하면 저체중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다양하고 심각한 신체적 문제들이 초래되는데 무월경, 변비, 복통, 추위에 대한 내성 저하, 무기력감, 과도한 에너지, 심각한 저혈압, 저체온, 서맥, 피부건조증 등이 발생하며 몸통에 가느다란 솜털 같은 체모가 생기는 사람도 있다. 의도적인 구토를 자주 하는 경우, 위산으로 인해 치아의 법랑질이 부식되며 구토 유도를 위해 손을 사용할 경우 손등과 이빨이 맞닿아 손등에 흉터가 생기기도 한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으로 인한 장기적 기아 상태와 하제 사용의 경우는 심각한 신체적 문제가 초래될 수 있는데, 이에는 빈혈증, 신장 기능장애, 심장혈관계 장애, 치아 문제, 골다공증 등이 있다. 이 장애는 때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데, 대학병원에 입원하는 경우 장기 사망률은 10% 이상이며 사망은 대부분 기아, 자살, 전해질 불균형 등에 의해 일어난다. 1980년대에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유명한 자매 가수인 카펜터스의 여동생 Karen Carpenter가 신경성 식욕부진증으로 사망하였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90% 이상이 여성에게 발생하며 특히 청소년기의 여성에게서 흔하다. 청소년과 초기 성인기에 있는 여성의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완전한 기준을 충족시키는 비율은 0.5~1.0%이다. 이 장애의 평균 발병 연령은 17세이고 초기 청소년기와 후기 청소년기에 두 번 정점에 도달하는 양극 양상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으며 40세 이상의 여성에게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들은 우울증, 사회공포증, 강박장애, C군 성격장애를 함께 지니고 있는 경향이 있다. 이 장애는 때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데, 환자의 14%가 합병증이나 자살로 사망하였다는 보고가 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면 장애  (0) 2022.08.23
신경성 폭식증  (0) 2022.08.22
정신분열증  (0) 2022.08.21
양극성 장애  (0) 2022.08.21
자살  (0) 2022.08.20